15, 루터의 터무니없는 주장은 무지와 오만의 소치

출처 / 구글 / 고트하르트 베이스 터널 동시대 사람들은 사회적으로 비슷한 경험을 하기 때문에 가치관과 인생관을 비롯하여 문제의식에 있어서 유사성을 가지기 마련입니다. 그런데 가톨릭 신부였던 에라스뮈스 (1466?~1536)와 마틴 루터( 1483~1546)는 극명하게 대조를 이룬 사람이었습니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1452~1519)에 대한 견해도 생판 다르기 때문에, 3인3색이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다빈치는 르네상스 개화기에 결정적 공헌을 했습니다. ‘생각의 씨앗’ 코덱스를 그림과 설명을 곁들이면서, < 인간의 잠재적 가능성>을 총체적으로 보여준 비범함과 총명함을 두루 갖춘 사람이었습니다. 물질문명 전 분야에 걸쳐서, 기념비적인 업적을 남겼습니다. 다빈치는 탐욕스럽게 보일 정도로 새로운 것을 찾아 헤맸던 사람이었습니다. 건축, 토목, 수학, 과학, 해부학, 공학, 음악, 비행기, 자동차, 각종 무기, 탱크, 자동소총, 잠수복, 낙하산, 콘택트렌즈, 수력자명종 등 물질문명 전반에 걸쳐서 다양한 아이디와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습니다. 미술 분야에서 보여준 모험적 시도 역시 인상적이었습니다. 그 당시 성경 속 인물을 그릴 때, 당연히 넣어야 하는 머리 뒷부분의 후광을 다빈치는 넣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인 배경에 인물을 넣어, 성스러운 느낌이 들지 않게 했습니다. <최후의 만찬>의 경우, 가롯인 유다와 다른 제자들을 구별할 수 없게 했습니다. 이교도 신앙에서 영감을 얻어 그린 그림도 있었다고 합니다. 이처럼 자의적으로 그림을 그렸을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 작품을 소개하는 여유도 보였습니다. 전쟁 무기 중에는, 독일의 기술자인 콘래드 카이저의 설계도면도 있습니다. 이탈...